archive 닫기

과거자료

한경협소식

Home 한경협소식 보도자료·발표문

보도자료·발표문

url복사
보도자료·발표문

2025년 하반기 수출전망조사

  • 부서 : 산업혁신팀
  • 작성일 : 2025-07-11
  • 조회수 : 295

기업 10곳 중 9곳(92.0%), 美 관세 인상률 15% 넘으면 버티기 어려워


[하반기 수출액] 1.6% 감소, 철강(△5.0%) ․ 선박(△2.5%) ․ 석화(△2.2%) 등 감소 전망

[채산성] 비슷 47.3% > 악화 38.7% > 개선 14.0%

[수출리스크] 미국 관세정책(53.3%), 글로벌 수요 침체(14.0%) 등

[정책지원] ➊통상협정 통한 관세 부담 완화(37%), ➋세제지원 확대(18.7%)


  미국발 관세부과 등 통상 불확실성이 하반기 국내 수출의 향방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시장조사 전문 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진행한 󰡔2025년 하반기 수출 전망 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10대 수출 주력 업종주1)을 영위하는 매출액 1,000대 대상(150개 사 응답)으로 진행되었다.

 * 주1) 철강, 선박, 석유화학(정유 포함), 일반기계, 자동차, 반도체, 바이오·헬스, 전자부품(디스플레이·이동통신기기 포함), 자동차 부품, 컴퓨터


[수출전망] <증가> 전자부품, 바이오헬스 등 4개 업종 vs <감소> 철강, 선박 등 6개 업종

  

  조사 결과, 하반기 국내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평균 1.6% 감소주2)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전자부품(1.3%), 바이오헬스(1.6%) 등 4개 업종은 하반기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철강(△5.0%), 선박(△2.5%) 등 6개 업종은 하반기 수출이 감소할 전망이다.

 * 주2) 응답 전망치 산술평균 기준




  하반기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 응답한 기업들은 그 요인으로 ‘관세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 증가’(45.6%), ‘주요 수출시장 경기 부진’(26.6%) 등을 꼽았다. 반면, 수출 증가를 전망한 기업들은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한 판로개척’(28.2%), ‘신제품 개발 등 제품 경쟁력 강화 ’(25.0%) 등을 이유로 들었다.




[최대 수출 리스크] ①미국 관세정책 (53.3%) ②글로벌 수요 침체 (14.0%)

美 관세 인상률 15% 넘으면 수출기업 10곳 중 9곳 버티기 어려워


  수출기업의 과반(53.3%)은 하반기 최대 수출 리스크로 ‘트럼프 행정부 관세정책’(53.3%)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글로벌 저성장에 따른 수요 침체’(14.0%), ‘미국·중국 통상 갈등 심화’(12.7%)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92.0%주3)는 미국의 관세 인상률이 15%가 넘을 경우, 이를 감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한경협은 지난 7일(美 현지시각) 미국이 발표한 25%의 상호관세(8/1 발효 예정)가 그대로 적용되면 수출기업의 어려움이 심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 주3) 92.0%= (응답 기업 42.0%=관세인상율 10% 미만도 감당 어려움) + (응답기업 50.0%=관세인상율 10~15% 감당 어려움)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율 인상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원가절감(33.7%), ▶수출단가 조정(33.2%), ▶해외 현지생산 확대(14.7%) 등을 꼽았고, 특별한 대응 방안이 없다는 응답도 14.2%로 나타났다.



 

수출 채산성 전망 : 비슷(47.3%) > 악화(38.7%) > 개선(14.0%)


  수출 대기업의 절반 가량(47.3)은 올해 하반기 수출 채산성주4)이 작년 하반기와 비슷(47.3%)할 것이라 응답했다. 수출 채산성이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38.7%로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14.0)보다 높게 나타났다.

 * 주4) 수출을 통해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의 수준을 의미하며, 수출 채산성이 좋으면 같은 물량을 수출해도 기업의 이익은 증가. 주로 환율, 수출 단가 등에 영향을 받음


  업종별로는 ▶자동차부품, ▶자동차, ▶일반기계, ▶석유화학, ▶철강 등 7개 업종에서 채산성 ‘악화’ 응답 비중이 ‘개선’ 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채산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이 높은 업종은 ▶반도체, ▶선박 등 2개 업종이다.주5)

 * 주5) 전자부품(개선 25% = 악화 25%)은 개선과 악화 응답 비중이 비슷


  채산성 악화 원인으로는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 증가’(44.8%), ‘수출 경쟁 심화로 인한 수출 단가 인하’(34.5%), ‘인건비 등 운영비용 증가’(13.8%) 등으로 나타났다.




[수출 경쟁력 강화 대책] 관세 부담 완화(37.0%). 세제지원 확대(18.7%)


  기업들은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통상협정을 통한 관세 부담 완화(37.0%), ▶법인세 감세·투자 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18.7%), ▶신규 수출시장 발굴 지원(12.6%)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국 관세정책과 글로벌 저성장으로 인한 수요 침체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기업들의 비용 절감 중심의 단기 대응은 한계가 있다”라며, “국내 수출기업의 비교우위를 반영한 통상협정과 수출 지역 다변화, 수출 경쟁력 제고를 통한 제도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첨부] 2025년 하반기 수출전망 조사표 및 설문조사 개요

과거자료
보기
공지사항